지표 정의
카테고리: SQL
지표(Metric)의 정의
1. 지표란?
- 데이터 분석이나 비즈니스 측면에서 지표를 설명하자면,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측정 항목
- 쉽게 말하면 원하는 것이 잘 진행되고 있는가?를 숫자로 표현
- 지표를 본다는 것은 팀, 기업의 목표나 전략이 있고 그 목표가 어떤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지 파악한다는 것을 뜻함
- 지표를 기반으로 하는 팀은 성과에 대해 잘 이해하게 되고, 제품이나 서비스 최적화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의사 결정할 수 있게 됨.
2. 제품 성장 단계
- 초기 : 제품을 개발하고,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찾는 시기
- 성장기 : 어느정도 PMF를 찾은 후, 사람들의 문제를 더 잘 해결하고자 하는 시기
- PMF : Product Market Fit의 약자로 제품이 시장에서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
- 성숙기 : 기존에 하던 것을 더 잘하면서, 관련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려는 단계(확장)
(1) 제품 성장 단계 : 초기
- 주요 지표 : DAU, Core Event, Retention Curve, Revenue
- 이 시기엔 데이터를 너무 많이 보는 것보다 고객의 문제 해결에 집중!
- 기본적인 지표들을 위주로 파악
(2) 제품 성장 단계 : 성장기
- 성장기 : 산업마다 정의가 모두 다르지만, 앱/웹 서비스는 최소 1000명 정도가 사용하는 상황
- PMF를 어느정도 찾았다고 할 수 있는 경우
- Retention Curve의 평평한 지점이 생긴 경우
- 성장기에 중요한 것 : 고객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!
- 규모가 커질수록 문제를 더 쪼개서 파악 => 지표가 더 세분화되고 많아지게 됨
- 지표를 잘 관리하는 것이 필요
제품과 비즈니스 관점
제품 관점
- 고객의 문제를 더 잘 해결하려면?
- 해결하는 과정이 습관이 되게 하려면?
- 우리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더 경험하게 하려면?
비즈니스 관점
- 이익 = 매출 - 비용
- 매출을 늘리려면? 비용을 줄이려면?
퍼널 별 전환율
- 퍼널 : 깔때기. 고객의 구매 여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관리하는 마케팅 전략
- 많은 잠재 고객을 유입시켜 점차 구매로 이어지도록 하는 과정임
- 퍼널 전환율 : (전환 이벤트/특정 퍼널 방문자 수)*100
- 전환 이벤트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일 수도 있고, 구매일 수도 있음. 정하기 나름
-
퍼널에서 고민할 점 : 어떻게 해야 다음 퍼널로 이동시킬 수 있을까?
- 앱 / 웹 서비스의 여러 페이지를 하나의 퍼널로 정의
- ex. 가입 퍼널, 온보딩 퍼널, 제품 탐색 퍼널, 검색 퍼널, 결제 퍼널
편의를 위한 기능의 지표
- 제품 관점에서 기능 개발을 할 때는 단기적으로는 해당 기능을 더 사용하는 것을 기대
- 버튼 클릭률. CTR
- 장기적으로는 매출에 기여하는 것을 기대
- 구매 전환율. CVR
- 구매 전환율. CVR
- 어떤 기능이냐에 따라 다르지만 생각할 수 있는 관점
- 기능을 사용할 것 같은 인원은 얼마나 되는가? (Target of Feature)
- 기능에 접근하기 직전 페이지 사용자 수, 전환율 등을 토대로 추정
- 기능을 사용한 고객은 얼마나 되는가? (Usage of Feature)
- 기능을 사용했다라는 이벤트를 정의하고 그 수를 측정(특정 버튼 클릭 수, 페이지 VIEW 수)
- 기능을 계속해서 사용하는 고객은 얼마나 되는가? (Retention of Feature)
- 기능을 1번 이상 사용한 사람들이 이후 기간에 얼마나 또 기능을 사용하는지를 측정
- 기능을 사용할 것 같은 인원은 얼마나 되는가? (Target of Feature)
(3) 제품 성장 단계 : 성숙기
- 성숙기에는 확장에 집중
- 성장기 때 사용한 지표를 다시 사용
-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표 파악
- 점점 하나의 지표로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음
- 여러 지표를 같이 보면서 파악(Primary Metric + Secondary Metric)
- 지표를 계속 쪼개서 세분화한 지표를 많은 곳에서 재사용
- ex) 고객 => 첫 방문 고객, 재 방문 고객, 오랜만에 방문한 고객으로 세분화
댓글 남기기